본문 바로가기

주식투자41

저금리시대, 부동산<주식. 전문가와 반대로 가라(김한진 신사임당) 저금리시대, 부동산 2020. 3. 31.
주식 투자 처음할 때 주의 사항 유의점, 투기가 아니라 투자(냉철TV) 주식 투자 처음할 때 주의 사항 유의점, 투기가 아니라 투자(냉철TV) 각 섹터에서 잘 나가는 회사가 꼭 하나는 있기 마련. 현재 가치는 장부에 다 있다. 미래 가치는 인사이트가 필요하다. 게임회사는 매출이 제일 중요하다. 대체로 순이익이 제일 중요하다. 자산 가치 - 회사의 기초체력 얼마나 버는지 PER, 감가상각, 현금흐름 등 고려. 주식의 본질은 투자. 5% 배당을 주는 회사도 있다. 2% 이상은 널려 있다. 배당주를 섹터별로 여러 개 사면 된다. 냉철TV. - 전업투자자로 10년째 살고 있음, 최소 30억. (80년생) 주식투자, 권하지 않는다. 누구나 할 수 있는 것이 아니다. 소액으로 테스트해보자. 예) 100만원이 있다면, 20번씩 여러 번 5만원씩 사라. 실적이 계속 좋아도 차트가 계속 내.. 2020. 3. 31.
직장인 투자, 배당 많이 주는 주식은? 증권주 은행주(신사임당 냉철TV) 직장인 투자, 배당 많이 주는 주식은? 증권주 은행주(신사임당 냉철TV) 직장인에 투자하기 제일 좋은 주식은 배당 많이 주는 주식 특히 미국은 배당 성향을 잘 지킨다. 과거 배당 성향은 전자공시 보면 확인 가능. 노후에 건물 월세보다는 배당금으로 사는 것이 안전하다. 행복한 투자자는 있어도 행복한 트레이더는 없다. 투기가 아닌 투자의 관점에서는 주식 살 타이밍을 재지 않는다. 부동산 빼면 투자할 수 있는 것은 채권, 주식, 상품 3가지. 예금보다 조금 더 벌겠다는 생각이라면 정말 주식이 좋다. 주식 투자는 재테크 관점에서 접근하면 무조건 해야 한다. 반대 매매 터질 때마다 들어가서 수익을 크게 보는 사람들도 있긴 하다. 예) 서킷 브레이커 우리나라만 주식을 죄악시한다. 증권주 우선주, 은행주(?) 우선주.. 2020. 3. 31.
자산배분 투자법 올웨더, 김단테 포트폴리오 구성(신사임당 김단테) 자산배분 투자법 올웨더, 김단테 포트폴리오 구성(신사임당 김단테) 2014~2018년 초까지 3년간 30~40개 PB 추천 상품에 수십억을 굴렸는데 0% 수익이더라. 너무 열 받아서 공부를 하기 시작했다. 데이트레이딩을 하기 시작. 한 번에 5~6개를 데이트레이딩을 돌리는데 너무 피곤하더라. 그냥 초보자니까 가장 잘하는 사람을 따라 해야겠다고 생각. EFT로 접근하기 시작. 대공황 때부터의 데이터를 다 모아서 분석해보니 9% 정도의 수익이 나오더라. 자기 나름의 방식이 신경 안 써도 된다고 안심이 되기 시작. 채권의 가장 큰 약점은 물가 상승. 물가가 상승하고 인플레이션이 일어나면 금리가 인상됨, 금리가 인상되면 편드는 다 박살남. 그래서 금리 인상에 대비하도록 원자재, 금, 물가연동채까지 다 같이 투자.. 2020. 3. 31.
부자되는 법, 매일 조금씩 부자되라(반드시 주식투자해야 하는 이유) 부자가 되는 법, 매일 조금씩 부자가 되라 부자는 매일 조금씩 부자가 되는 것이다. 부자가 되는 것은 어제보다 오늘이 부자인가 확인해보면 안다. 즉, 매일 소비 < 소득 이어야 한다. 하루만 보면 안다. 신용카드의 등급이 올라간다는 것은 빚의 구덩이에 들어가는 것이다. 개인이 급속도로 가난해지게 길이다. 신용카드의 마케팅 수작이다. 그러니 마케팅을 이길 멘탈이 되어야 한다. 그렇지 않다면 신용카드를 없애 버려야 한다. 돈을 써봐야 쓸 줄 안다? 가난한 사람들이 하는 소리다. 부자가 되고 싶다면 부자가 될 수 있다는 것을 실제로 믿어야 한다. 용기 + 부정적 생각 제거 + 매일 실천(어제보다 오늘이 더 부자인가) 왜 은행은 내 돈 가져가서 더 높은 대출금리로 돈을 버는데 기분이 안 나쁜가? 나한테 2% 이.. 2020. 3. 29.
코로나 사태 주식투자, 부자가 될 기회다. 코로나 사태는 부자가 될 기회다. 너도 나도 주식에 관심을 갖고 있는 요즘. 몇몇 코로나 관련 주는 폭등을 하기도 합니다. 역사는 늘 반복됩니다. 폭락 뒤에는 폭등이 있었지요. 대신증권 자료를 보면 코로나 여파가 끝나는 지점을 잘 파악하라고 말합니다. 이미 많은 사람들이 수익을 보았겠지만 대세 상승이 시작된 것은 아니니까요. 중장기적인 관점에서의 투자 방법을 이야기하고 있네요. 아래 내용을 요약하면 이렇습니다. 나스닥지수 -3%가 2달 연속으로 안 뜰 때 1등 기업 주식을 사라. 최근 중국 PMI지수가 35까지 급락했습니다. 주식의 대표 지수들도 등락을 오고 갑니다. 코로나의 여파도 예상보다 커지고 있습니다. 이에 글로벌 위기에 대한 불안감도 점점 극대화되고 있습니다. 그렇다면 불황을 두려워해야만 할까요.. 2020. 3. 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