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혹시 아이가 요즘 말이 없고, 웃음도 줄어들었나요?
부모로서 ‘사춘기니까 그럴 수도 있겠지’ 하며 넘기기엔 마음이 무겁고 걱정될 때가 있어요.
청소년 우울증은 생각보다 가까이에 있고, 상담을 통해 아이도, 부모도 조금 더 편안해질 수 있어요.
오늘은 부모님들이 꼭 알아야 할 청소년 우울증 상담 방법 5가지를 함께 알아보려 해요.
1. 청소년 우울증, 부모가 먼저 알아야 할 것들
우울증은 성인만의 문제가 아니에요.
10대 청소년들 역시 학교생활, 친구 관계, 진로 압박 등 여러 이유로 우울감을 느낄 수 있어요.
그런데 종종 이런 신호를 단순한 반항, 사춘기로 치부해버리는 경우가 많죠.
- 아이가 자주 피곤해 하거나
- 갑자기 성적이 떨어지거나
- 평소 좋아하던 활동에도 흥미를 잃는다면
이건 단순한 기분 문제가 아니라 우울증의 초기 신호일 수 있어요.
부모가 먼저 관심을 가지고 변화를 알아차리는 것이 중요해요.
2. 왜 전문 상담이 필요할까?
부모나 선생님, 친구들의 조언도 물론 도움이 되지만,
청소년 우울증은 전문가의 개입이 꼭 필요한 심리 문제예요.
청소년기의 뇌는 아직 감정 조절 능력이 완성되지 않아
사소한 스트레스에도 감정이 크게 흔들릴 수 있어요.
그리고 부모의 조언이 오히려 "잔소리"로 들릴 수도 있어요.
이럴 땐 중립적인 제3자의 조력자, 즉 상담 전문가가 필요해요.


3. 부모가 할 수 있는 상담 접근법 5가지
3.1 아이의 말을 끊지 않고 들어주세요
무엇보다 중요한 건, **'들어주는 자세'**예요.
무엇을 말하든 중간에 끊거나 조언을 서두르기보다는
"그래서 어떤 마음이었어?" 같은 공감형 질문을 던져보세요.
3.2 학교 상담실 활용하기
대부분의 중·고등학교에는 전담 상담 교사나 위클래스라는 상담 공간이 있어요.
아이 몰래 미리 상담 선생님과 이야기를 나눠볼 수도 있고,
아이에게 자연스럽게 “이런 공간도 있더라~” 하고 소개해보는 것도 좋아요.
3.3 청소년상담복지센터 이용하기
**청소년상담복지센터(1388)**는 전국 어디서나 이용할 수 있는 무료 전문 상담기관이에요.
심리검사부터 1:1 상담, 가족상담까지 폭넓은 서비스를 받을 수 있어요.
전화 1388 또는 https://www.kyci.or.kr에서 위치 확인 가능
3.4 정신건강복지센터 및 병원 연계 알아보기
지역별 정신건강복지센터는 정신과 병원보다 진입 장벽이 낮고,
무료 또는 저렴한 비용으로 상담 및 치료 연계가 가능해요.
필요하다면 병원 진료를 연결해주는 다리 역할도 해준답니다.
3.5 온라인/전화 상담 서비스도 활용하세요
아이들이 대면상담을 부담스러워한다면
온라인 채팅, 전화 상담도 좋은 시작이 될 수 있어요.
- 1388 청소년전화 (24시간 운영)
- 카카오톡 플러스친구 '청소년상담센터 1388'
- 마인드링크, 트로스트 같은 앱도 있음


4. 상담을 거부하는 아이, 어떻게 다가갈까?
아이가 “싫어”, “귀찮아” 하며 상담을 거부할 수 있어요.
이럴 때 강제로 끌고 가는 것보다는, 아이가 느끼는 부담을 줄여주는 접근이 필요해요.
💬 예시 대화법:
“엄마가 네가 요즘 힘들어 보여서 그래. 그냥 이런 데도 있다고 알려주고 싶었어. 너 결정에 맡길게.”
그리고 너무 큰 기대를 갖기보다는,
작은 변화 하나하나에 박수를 보내는 자세도 중요해요.
저도 아이랑 상담을 가보자고 설득하는 데만 한 달이 걸렸어요.
처음엔 “나 이상한 사람 아니야!”라며 거부감이 심했죠.
하지만 아이의 입장을 인정해주고, 억지로 끌고 가기보단 “이런 곳도 있대~” 정도로 가볍게 이야기했더니
결국엔 본인이 먼저 관심을 보였어요. 상담을 받은 후 아이가 “생각보다 괜찮았어”라고 말해줬을 때,
부모로서 정말 잘한 선택이었다고 느꼈어요.
5. 부모의 마음도 돌보세요
부모 역시 매일 신경 쓰고 걱정하다 보면 지치고 불안할 수 있어요.
아이만큼이나 부모의 정서도 중요해요.
혹시 혼자 감당하기 어렵다면,
지역의 부모상담센터나 마음건강 프로그램을 활용해 보세요.
아이를 위해서라도 부모 자신의 회복이 먼저일 수 있어요.
상담을 받은 뒤, 한 부모님은 이런 이야기를 남겼어요.
“아이 얼굴이 오랜만에 편안해 보였어요. 전문가와 대화한 게 큰 도움이 되었던 것 같아요.”
또 다른 부모는
“혼자 고민할 때는 너무 불안했는데, 상담사와 이야기 나누고 나니 저도 안심이 됐어요.”
📊 청소년 우울증 상담 기관 정보 정리
청소년상담복지센터 (1388) | 전화, 카카오톡, 방문 상담 | 24시간 | ☎ 1388 / 홈페이지 | 전국 어디서나 이용 가능, 무료 |
학교 위(Wee)클래스 | 학교 내 상담실 방문 | 학교 운영 시간 내 | 담임 교사 통해 예약 | 교내에서 심리검사 및 상담 가능 |
정신건강복지센터 | 지역 보건소 또는 센터 직접 예약 | 평일 9시~18시 | 지자체별 센터 확인 필요 | 초기 상담 후 병원 연계 가능 |
트로스트, 마인드카페 등 앱 | 모바일 앱 설치 후 비대면 상담 | 앱별 상이 | 트로스트, 마인드카페 | 익명성 보장, 심리 전문가와 연결 |


🙋♀️ 부모님들을 위한 FAQ
Q1. 아이가 상담을 거부하는데 어떻게 해야 하나요?
A. 강요보다는 공감이 우선입니다. "엄마는 네가 요즘 힘들어 보여서 걱정돼. 이건 너를 도우려는 거야" 같은 말로 아이의 감정을 인정해 주세요. 상담은 선택지를 주는 것으로 시작해야 합니다.
Q2. 청소년 상담은 무료로 받을 수 있나요?
A. 네, 대부분의 공공 상담 서비스는 무료입니다. 1388 청소년상담센터, 정신건강복지센터 등은 비용 부담 없이 이용할 수 있어요. 사설 앱이나 기관은 일부 유료일 수 있으니 확인이 필요합니다.
Q3. 상담은 얼마나 자주 받아야 하나요?
A. 개인의 상태에 따라 다르지만, 일반적으로 주 1회 또는 격주 1회씩 진행됩니다. 처음에는 상담사가 상태를 평가한 후 상담 빈도를 조율해 줄 거예요.
Q4. 부모도 함께 상담을 받아야 하나요?
A. 경우에 따라 부모상담이 함께 이루어지기도 해요. 아이의 상황을 정확히 이해하고, 가정 내 의사소통을 개선하는 데 큰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Q5. 상담을 받는다고 기록에 남거나 불이익이 생기진 않나요?
A. 공공기관 및 학교 상담은 비밀보장 원칙을 따릅니다. 기록은 외부에 공유되지 않으며, 아이의 진로나 생활에 불이익이 생기지 않도록 운영되고 있어요.
'마음 건강' 카테고리의 다른 글
병아리콩 효능 부작용 영양소 요리법 (1) | 2025.04.07 |
---|---|
경계성 성격장애 인격장애 대처 방법 (0) | 2025.04.06 |
벤조다이아제핀계 수면제, 언제까지 먹어도 되나요? (0) | 2025.03.25 |
조울증과 우울증의 결정적 차이점 5가지 (1) | 2025.03.24 |
공황발작 증상 치료방법 원인 주기 사례 (1) | 2024.10.07 |
댓글